연성2 파손(재료의 파손, 파괴) 공학 재료의 파손은 인명 피해, 경제적 손실, 생산 및 운전 실적의 저하를 초래한다. 파손의 원인과 재료의 거동 상태를 잘 알고 있어도 파손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파손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부적절한 재료의 선정 및 제작, 부적합한 기기 설계, 기기의 작동 오류 등을 들 수 있다. 기술자는 파손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파손이 일어난 경우에는 파손의 원인을 분석하여 차후의 파손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파괴의 기초 파괴란 재료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정적 응력(일정한 응력, 또는 시간에 따라 매우 천천히 변하는 응력 상태)을 가함으로써 물체가 두 조각 이상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뜻한다. 적용 응력의 형태로는 인장 응력, 압축 응력, 전단 응력 또는 뒤틀림 응력 등이 있다. 공학 재.. 2022. 4. 18. 연성, 탄력, 인성 연성(Ductility) 연성은 재료의 또 다른 중요한 기계적 성질로서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의 소성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며, 파괴 시 소성변형이 거의 수반되지 않는 재료를 취성(brittle) 재료라 한다. 연성을 정량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길이 신장률 또는 단면적 감소율을 사용한다. 길이 신장률, 즉 % EL은 파괴 시의 소성 변형률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파괴 시의 소성변형은 주로 시편의 네킹 부분에 집중되므로 % EL의 양은 시편의 게이지 길이에 따라 다르다. 초기 짧으면 짧을수록 네킹 부분에서 일어나는 신장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더 커진다. 그러므로 길이 신장률을 나타날 때는 초기값을 명시해 주어야 한다. 재료의 연성은 설계 시 구조물의 파괴가 일어나기 전까지 나타나는 소성변형의 정도와 제작 성형.. 2022. 4. 13. 이전 1 다음